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

경기도 버스 공공관리제와 준공영제의 차이,경기버스정보

by 잠들지않는시간 2025. 2. 1.
반응형

경기도 버스 공공관리제와 준공영제의 차이,경기버스정보
경기버스정보

 

경기도는 2024년부터 경기도 내의 시내버스 2200대를 시작으로 공공관리제(경기도형 준공형제)를 시행하였으며  2027년까지 경기도 전체버스에 대하여 공공관리제를 시행합니다

경기도에서 2027년까지 전체적으로 시행하려는 공공관리제에 대하여 알아보고  준공영제를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또한 도착버스정보를 받기 위하여 카카오정보를 주로 이용하였는데 지인의 소개로 경기 버스정보앱이 있다는 걸 알고 사용해 보았더니 너무 괜찮은 것 같아서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경기버스정보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공적관리 강화: 시내버스에 대한 공공의 관리를 강화하여 서비스 질을 향상합니다

성과 기반 운영: 기존 준공영제와 달리 100% 성과 이윤으로 운영됩니다. 버스회사에 기본이윤을 지급하지 않고, 경영 및 서비스 평가를 통한 성과 이윤만 지급합니다

정기적 평가: 매년 노선 단위 종합평가를 실시하고, 3년 단위로 공공관리제 갱신 여부를 결정합니다

 

공공관리제의 주요 목표

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는 2024년 1월 2,200대로 시작하였으며 2027년까지 경기도 전체 시내버스 6,100 (도관리 노선 3,100대, 각군관리 3,000대)를 공공관리제로 전환합니다

  • 버스회사 경영 안정화
  • 운수종사자 처우 개선
  • 버스 서비스 품질 향상

서비스 개선 방안

  • 무정차 방지: 버스 정류소 통과 시 시속 30km 미만으로 서행하도록 규정
  • 불친절 대응: 친절 교육 의무화 및 친절 기사 인증제도 도입
  • 난폭운전 방지: 법규 위반 시 무관용 원칙으로 과태료 부과 및 행정처분 강화
  • 배차계획 준수: 운행시간과 배차간격을 철저히 관리

준공영제, 공공관리제와 비교

  공공관리 준공영제
재정방식 100% 성과이윤으로 운영
(경영및 서비스 평가를 통한 성과이윤)
기본지원금+성과이윤
정산방식 사전확정제 사후정산(정산후 전액보전)
운영기간 3년마다갱신 영구협약
노선관리 노선별정산 업체별 정산
운영유형 공공지원형+노선입찰형 -
처우개선 시내버스 운전자들의 임금을 공공버스 운전자의 100% 수준으로 인상계획 -

 

 

2024.1.1일부터 시행한 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공공관리제는 준공영제와 달리 노선별로 평가를 하고 3년마다 갱신을 하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거의 영구적 수준인 준공영제보다는 3년마다 노선별로 경기도가 재평가하여 갱신을 한다는 것은

운수회사가 책임 있는 경영을 의미합니다

 

경기버스정보

참고로 도착 버스정보앱을 카카오로 많이 사용하시는데 새로운 앱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경기 버스정보라는 앱인데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애플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삼성갤럭시 경기버스정보
애플폰 경기버스정보

 

경기버스정보
경기버스정보

 

경기버스정보앱에서 버스의 도착정보와 배차간격을 자세하고 확인할 수 있으며 버스가 노선을 이탈한 경우

앱에서 이탈했다는 경고문자가 표시됩니다 이런 기능은 막차나 첫차처럼 승객이 없는 시간에 빨리 가기 위하여 노선을 이탈했을 때 운수회사에 신고도 할 수 있어서 도움이 될듯합니다 또한 승차하고자 하는 정류장에서 승차벨을 누를 수 있고 하차지점에서 앱으로 하차벨을 누를 수 있으므로 교통약자 분들 한 데는 정말 유용한 앱입니다

 

 

 

 

버스 운수 종사자 양성 사업- 정부 지원금,경기도 지원금,고용 촉진 장려금

버스운수종사자 양성사업은 버스운전자양성과 공익적 일자리 창출을 위해 시행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오늘은 경기도 화성교통안전 체험교육센터에서 진행하는 버스운수 종송자 양성 사업에

meld.tistory.com

 

 

 

 

2종 자동 운전 면허증으로 화물 트럭 운전 가능 (1종자동면허)

자동차를 운전하려는 사람은 반드시 운전면허증이 필요하며 차종, 기어종류(자동, 수동)에 따라 운전할 수 있는 차량이 제한됩니다 1종자동면허제도 시행으로 2024년 10월 20일부터 기존에 2종 자

meld.tistory.com

 

 

 

 

반응형